반응형
여름은 햇살, 휴가, 야외 놀이의 계절이지만 동시에 수족구병(HFMD)의 유행 시즌이기도 합니다. 이 고도로 전염성 있는 질환은 주로 5세 이하의 영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며, 가정, 어린이집, 놀이터 등에서 빠르게 확산될 수 있습니다. 계절적 요인, 전파 경로, 예방 수칙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우리 아이들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수족구병은 주로 콕사키바이러스 A16, 엔테로바이러스 71에 의해 발생합니다. 대부분 가벼운 증상으로 끝나지만, 전염 속도와 잠재적인 합병증을 고려하면 여름철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름철 수족구병이 유행하는 이유
- 접촉 기회 증가: 여름에는 캠프, 어린이집, 놀이터 등에서 아이들의 모임이 많아져 감염 노출 빈도가 높아집니다.
- 더운 날씨와 습도: 고온다습한 환경은 바이러스가 표면에서 더 오래 살아남게 합니다.
- 야외 활동 시 위생 소홀: 야외 간식, 장난감 공유 등으로 손 씻기나 소독이 소홀해지기 쉽습니다.
- 에어컨이 켜진 밀폐된 공간: 실내 공기가 순환되는 환경에서 호흡기 감염 전파 가능성이 커집니다.
수족구병의 주요 전파 경로
- 호흡기 비말 전파
기침, 재채기, 심지어 말하는 것만으로도 비말이 튀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물집 또는 침과의 직접 접촉
입이나 피부의 물집에 있는 체액에는 바이러스가 많아, 이를 만지거나 긁으면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오염된 물건이나 표면 접촉
장난감, 컵, 테이블, 수건 등은 바이러스가 쉽게 붙는 매개체입니다. - 분변-경구 감염 경로
아이가 회복된 이후에도 바이러스는 며칠간 대변에 남아 있어 기저귀 교체 후 손을 제대로 씻지 않으면 감염 가능성이 커집니다. - 음식과 음료 공유
야외에서 아이들이 간식을 나눠 먹거나 컵을 돌려 마시는 경우 전파 위험이 높습니다.
수족구병을 예방하는 7가지 방법
- 철저한 손 위생 교육
식사 전, 외출 후, 화장실 사용 후에는 비누로 20초 이상 손을 씻도록 가르치세요. - 장난감과 공용 표면 정기 소독
장난감, 문 손잡이, 의자, 책상 등은 매일 소독제로 닦아주세요. - 개인 물품 공유 금지
수건, 컵, 식기 등은 각자 사용하고, 이름표로 구분해 주세요. - 증상 발생 시 즉시 격리
발열, 궤양, 발진이 있을 경우 최소 7일간 외출을 자제하고 격리하세요. - 집안 환기 및 온도 조절
환기와 청소를 자주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세요. - 초기 증상 관찰과 빠른 대응
발열, 입맛 감소, 인후통 등이 나타나면 즉시 휴식을 취하도록 하세요. - 보호자와 교사 대상 교육 강화
돌봄을 맡는 모든 이들에게 예방수칙을 공유하고 교육하세요.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렸다면?
- 수분 섭취: 얼음, 찬 음료, 스무디 등으로 입 안 통증을 줄이며 수분을 보충하세요.
- 해열제 사용: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해열제를 복용하세요.
- 충분한 휴식: 시원하고 조용한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하세요.
마무리하며
수족구병은 가볍게 여길 수 있지만 여름철에는 급속도로 확산되기 쉬운 질환입니다. 위생 습관, 빠른 격리, 환경 정비, 증상 대응만으로도 아이와 공동체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자녀는 수족구병을 겪은 적이 있나요? 효과적이었던 예방법이나 대처법을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반응형